43년간 소록도봉사 외국인 수녀 2명, 편지 남기고 홀연히 떠나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도에서
43년 동안 한센병 환자를 보살펴 온
외국인 수녀 2명이 편지 한 장을 남기고 떠났다.
소록도 주민들은 이별의 슬픔을 감추지 못한 채
일손을 놓고 성당에서 열흘 넘게 감사의 기도를 올리고 있다.
소록도에서 평생을 환자와 함께 살아온 마리안(71),
마가레트(70) 수녀가 고국인 오스트리아로 떠난 것은 지난달 21일.
마리안 수녀는 1959년에, 마가레트 수녀는
1962년에 소록도에 첫발을 디뎠다.
‘그리스도왕의 수녀회’ 소속인 두 수녀는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상처에 약을 발라줬다.
또 외국 의료진을 초청해 장애교정 수술을 해 주고
한센인 자녀를 위한 영아원을 운영하는 등
보육과 자활정착 사업에 헌신했다.
정부는 이들의 선행을 뒤늦게 알고 1972년 국민포장,
1996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했다.
두 수녀는 이른 새벽 아무도 모르게 섬을 떠났다.
‘사랑하는 친구 은인들에게’란 편지 한 장만 남겼다.
이들은 편지에서 “나이가 들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고
우리들이 있는 곳에 부담을 주기 전에 떠나야 한다고
동료들에게 이야기했는데
이제 그 말을 실천할 때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부족한 외국인으로서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아 감사하며
저희들의 부족함으로 마음 아프게 해 드렸던 일에 대해
이 편지로 용서를 빈다”고 말했다.
김명호(56) 소록도 주민자치회장은 “주민에게 온갖 사랑을 베푼
두 수녀님은 살아있는 성모 마리아였다”며 “작별인사도 없이 섬을 떠난
두 수녀님 때문에 섬이 슬픔에 잠겨 있다”고 말했다.
43년간 소록도에서 봉사활동을 한 마가레트 수녀(왼쪽)와
마리안 수녀(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출국 인사를 하기 위해
지난달 21일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최창무 대주교(왼쪽에서 두 번째),
윤공희(가운데) 김희중 주교와 기념촬영을 했다.
40년 봉사 접고 말없이 떠난 소록도 두 천사
소록도의 한센병 환자・주민들이 열흘 넘게
성당과 치료소에 모여 감사의 기도를 올리고 있다고 한다.
43년 동안 환자들을 보살피다 지난달 21일 귀국한
오스트리아 수녀 두 분의 은혜에 감사하며 이별의 슬픔을 누르는 기도다.
마리안네 스퇴거(71), 마가레트 피사렉(70) 수녀는 주민들에게
헤어지는 아픔을 주기 싫다며 ‘사랑하는 친구・恩人은인들에게’라는
편지 한 장만 남기고 새벽에 몰래 섬을 떠났다.
두 수녀는 편지에서 “나이가 들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부담을 주기 전에 떠나야 할 때”라며 “부족한 외국인이
큰 사랑을 받았다”고 오히려 감사했다.
오스트리아 간호학교를 나온 두 수녀는
소록도병원이 간호사를 원한다는 소식이 소속 修女會수녀회에 전해지자
1962년과 66년 차례로 소록도에 왔다.
두 사람은 섬에 발을 디딘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마리안네 & 마가레트’라는 표찰이 붙은 방에서 환자를 보살폈다.
환자들이 말리는데도 약을 꼼꼼히 발라야 한다며
장갑도 끼지 않고 상처를 만졌다.
오후엔 죽도 쑤고 과자도 구워 들고 마을을 돌았다.
사람들은 전라도 사투리에 한글까지 깨친 두 수녀를 ‘할매’라고 불렀다.
꽃다운 20대는 수천 환자의 손과 발로 살아가며 일흔 할머니가 됐다.
숨어 어루만지는 손의 奇蹟기적과,
주님밖엔 누구에게도 얼굴을 알리지 않는 베풂이
참베풂임을 믿었던 두 사람은 賞상이나 인터뷰를 번번이 물리쳤다.
10여년 전 오스트리아 정부 훈장은
駐韓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가 섬까지 찾아와서야 줄 수 있었다.
병원측이 마련한 회갑잔치마저 “기도하러 간다”며 피했다.
월 10만원씩 나오는 長期장기봉사자 食費식비도 마다해
병원측이 “식비를 안 받으면 봉사자 자격을 잃는다”고 해
간신히 손에 쥐여줄 수 있었다.
두 수녀는 이 돈은 물론, 본국 수녀회가 보내오는
생활비까지 환자들 우유와 간식비,
그리고 성한 몸이 돼 떠나는 사람들의 路資노자로 나눠줬다.
두 수녀의 귀향길엔...
소록도에 올 때 가져왔던 해진 가방만 들려 있었다고 한다.
외로운 섬, 상처받은 사람들을 반세기 가깝게 위로한
두 수녀님의 사랑의 향기는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에 날려
어두운 곳을 밝히고 추운 세상을 덥혀 주리라고 믿는다.
전라남도 고흥반도의 녹동항구에서 조금 떨어진 섬,
생긴 모양이 "어린 사슴"같다 하여 이름 지은 소록도(少鹿島)
"어린 사슴의 섬, 소록도"
그곳에서 40년을 나환자들을 봉사하며 살다가
지난 11월 21일에 달랑 편지 한 장만을 남기고 떠난
마리안 수녀, 마가레트 수녀의 삶에 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금년을 보내는 마지막 3일을 남기는 오늘,
"정말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이 두 분의 삶을 통해 다시 보고 다시 듣고 다시 배운다.
이 분들은 20대 후반인 1962에 소록도에 왔다.
그리고 나환자들과 그 자녀들을 돌보는 일에 평생을 드린다.
그리고 이제 고향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에
왔을 때처럼 조용하게 돌아간 분들이다.
" 이제는 70세가 된 마리안 수녀 "
"처음 갔을 때 환자가 6000명이었어요.
아이들도 200명쯤 되었고, 약도 없고 돌봐줄 사람도 없었습니다.
한사람 한사람 치료해 주려면
평생 이곳에서 살아야 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
이 두분은 팔을 걷어 붙이고,
환자들을 직접 치료하기 시작한 것이 40년이 된 것이다.
할 일을 지천이었고, 돌봐야 할 사람은 끝이 없었다고 했다.
그래서 두 분은 가족에게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차례 전했다고 한다.
마가레트 수녀의 언니(73세)는 '소록도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한다고 들었기에,
마가레트가 언젠가는 재로 변해 돌아올 거라 생각을 하였단다.
그렇게 40년의 숨은 봉사...
이렇게 정성을 쏟은 소록도는 이제 많이 좋아져서,
환자도 600명 정도로 크게 줄었단다.
이들은 40년동안 함께 일한
한국인 간호원장이 은퇴하는 모습을 옆에서 보면서,
이제는 한국을 떠나도 되겠다고 결심했단다.
소록도의 지금 인구는 약 400가구, 직원 포함하여 약 1,700명
400가정을 대상으로 한 평생을 조용히 섬기며 살았다.
그리고 또 누군가에게 알려질 까봐, 요란한 송별식이 될까봐
조용히 떠나갔다.
두 분은 배를 타고 소록도를 떠나던 날,
멀어지는 섬과 사람들을 멀리서 보며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며 울었다고 했다.
20대부터 40년을 살았던 소록도 였기에,
소록도가 그들에게는 고향과 같았기에,
이제 돌아가 고향 오스트리아는 도리어 낯선 땅이 되었지만,
3평 남짓 방한칸에 살면서
방을 온통 한국의 장식품으로 꾸며놓고
오늘도 '소록도의 꿈'을 꾼다고 했다.
그 분의 방문 앞에는
그분의 마음에 평생 담아두었던 말이 한국말로 써 있다.
'선하고 겸손한 사람이 되라'
인터뷰를 마치고 돌아가는 오스트리아 특파원 금기자에게
'알사탕 몇알을 꼬옥 쥐어주는 그녀,
그리고 '밥을 차려 주지 못해 미안하다' 하면서 하는 말,
"지금도 우리 집, 우리 병원 다 생각나요.
바다는 얼마나 푸르고 아름다운지...
하지만 괜찮아요.
마음은 소록도에 두고 왔으니까요!"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도에서
43년 동안 한센병 환자를 보살펴 온
외국인 수녀 2명이 편지 한 장을 남기고 떠났다.
소록도 주민들은 이별의 슬픔을 감추지 못한 채
일손을 놓고 성당에서 열흘 넘게 감사의 기도를 올리고 있다.
소록도에서 평생을 환자와 함께 살아온 마리안(71),
마가레트(70) 수녀가 고국인 오스트리아로 떠난 것은 지난달 21일.
마리안 수녀는 1959년에, 마가레트 수녀는
1962년에 소록도에 첫발을 디뎠다.
‘그리스도왕의 수녀회’ 소속인 두 수녀는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상처에 약을 발라줬다.
또 외국 의료진을 초청해 장애교정 수술을 해 주고
한센인 자녀를 위한 영아원을 운영하는 등
보육과 자활정착 사업에 헌신했다.
정부는 이들의 선행을 뒤늦게 알고 1972년 국민포장,
1996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했다.
두 수녀는 이른 새벽 아무도 모르게 섬을 떠났다.
‘사랑하는 친구 은인들에게’란 편지 한 장만 남겼다.
이들은 편지에서 “나이가 들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고
우리들이 있는 곳에 부담을 주기 전에 떠나야 한다고
동료들에게 이야기했는데
이제 그 말을 실천할 때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부족한 외국인으로서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아 감사하며
저희들의 부족함으로 마음 아프게 해 드렸던 일에 대해
이 편지로 용서를 빈다”고 말했다.
김명호(56) 소록도 주민자치회장은 “주민에게 온갖 사랑을 베푼
두 수녀님은 살아있는 성모 마리아였다”며 “작별인사도 없이 섬을 떠난
두 수녀님 때문에 섬이 슬픔에 잠겨 있다”고 말했다.
43년간 소록도에서 봉사활동을 한 마가레트 수녀(왼쪽)와
마리안 수녀(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출국 인사를 하기 위해
지난달 21일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최창무 대주교(왼쪽에서 두 번째),
윤공희(가운데) 김희중 주교와 기념촬영을 했다.
40년 봉사 접고 말없이 떠난 소록도 두 천사
소록도의 한센병 환자・주민들이 열흘 넘게
성당과 치료소에 모여 감사의 기도를 올리고 있다고 한다.
43년 동안 환자들을 보살피다 지난달 21일 귀국한
오스트리아 수녀 두 분의 은혜에 감사하며 이별의 슬픔을 누르는 기도다.
마리안네 스퇴거(71), 마가레트 피사렉(70) 수녀는 주민들에게
헤어지는 아픔을 주기 싫다며 ‘사랑하는 친구・恩人은인들에게’라는
편지 한 장만 남기고 새벽에 몰래 섬을 떠났다.
두 수녀는 편지에서 “나이가 들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부담을 주기 전에 떠나야 할 때”라며 “부족한 외국인이
큰 사랑을 받았다”고 오히려 감사했다.
오스트리아 간호학교를 나온 두 수녀는
소록도병원이 간호사를 원한다는 소식이 소속 修女會수녀회에 전해지자
1962년과 66년 차례로 소록도에 왔다.
두 사람은 섬에 발을 디딘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마리안네 & 마가레트’라는 표찰이 붙은 방에서 환자를 보살폈다.
환자들이 말리는데도 약을 꼼꼼히 발라야 한다며
장갑도 끼지 않고 상처를 만졌다.
오후엔 죽도 쑤고 과자도 구워 들고 마을을 돌았다.
사람들은 전라도 사투리에 한글까지 깨친 두 수녀를 ‘할매’라고 불렀다.
꽃다운 20대는 수천 환자의 손과 발로 살아가며 일흔 할머니가 됐다.
숨어 어루만지는 손의 奇蹟기적과,
주님밖엔 누구에게도 얼굴을 알리지 않는 베풂이
참베풂임을 믿었던 두 사람은 賞상이나 인터뷰를 번번이 물리쳤다.
10여년 전 오스트리아 정부 훈장은
駐韓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가 섬까지 찾아와서야 줄 수 있었다.
병원측이 마련한 회갑잔치마저 “기도하러 간다”며 피했다.
월 10만원씩 나오는 長期장기봉사자 食費식비도 마다해
병원측이 “식비를 안 받으면 봉사자 자격을 잃는다”고 해
간신히 손에 쥐여줄 수 있었다.
두 수녀는 이 돈은 물론, 본국 수녀회가 보내오는
생활비까지 환자들 우유와 간식비,
그리고 성한 몸이 돼 떠나는 사람들의 路資노자로 나눠줬다.
두 수녀의 귀향길엔...
소록도에 올 때 가져왔던 해진 가방만 들려 있었다고 한다.
외로운 섬, 상처받은 사람들을 반세기 가깝게 위로한
두 수녀님의 사랑의 향기는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에 날려
어두운 곳을 밝히고 추운 세상을 덥혀 주리라고 믿는다.
전라남도 고흥반도의 녹동항구에서 조금 떨어진 섬,
생긴 모양이 "어린 사슴"같다 하여 이름 지은 소록도(少鹿島)
"어린 사슴의 섬, 소록도"
그곳에서 40년을 나환자들을 봉사하며 살다가
지난 11월 21일에 달랑 편지 한 장만을 남기고 떠난
마리안 수녀, 마가레트 수녀의 삶에 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금년을 보내는 마지막 3일을 남기는 오늘,
"정말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이 두 분의 삶을 통해 다시 보고 다시 듣고 다시 배운다.
이 분들은 20대 후반인 1962에 소록도에 왔다.
그리고 나환자들과 그 자녀들을 돌보는 일에 평생을 드린다.
그리고 이제 고향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에
왔을 때처럼 조용하게 돌아간 분들이다.
" 이제는 70세가 된 마리안 수녀 "
"처음 갔을 때 환자가 6000명이었어요.
아이들도 200명쯤 되었고, 약도 없고 돌봐줄 사람도 없었습니다.
한사람 한사람 치료해 주려면
평생 이곳에서 살아야 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
이 두분은 팔을 걷어 붙이고,
환자들을 직접 치료하기 시작한 것이 40년이 된 것이다.
할 일을 지천이었고, 돌봐야 할 사람은 끝이 없었다고 했다.
그래서 두 분은 가족에게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차례 전했다고 한다.
마가레트 수녀의 언니(73세)는 '소록도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한다고 들었기에,
마가레트가 언젠가는 재로 변해 돌아올 거라 생각을 하였단다.
그렇게 40년의 숨은 봉사...
이렇게 정성을 쏟은 소록도는 이제 많이 좋아져서,
환자도 600명 정도로 크게 줄었단다.
이들은 40년동안 함께 일한
한국인 간호원장이 은퇴하는 모습을 옆에서 보면서,
이제는 한국을 떠나도 되겠다고 결심했단다.
소록도의 지금 인구는 약 400가구, 직원 포함하여 약 1,700명
400가정을 대상으로 한 평생을 조용히 섬기며 살았다.
그리고 또 누군가에게 알려질 까봐, 요란한 송별식이 될까봐
조용히 떠나갔다.
두 분은 배를 타고 소록도를 떠나던 날,
멀어지는 섬과 사람들을 멀리서 보며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며 울었다고 했다.
20대부터 40년을 살았던 소록도 였기에,
소록도가 그들에게는 고향과 같았기에,
이제 돌아가 고향 오스트리아는 도리어 낯선 땅이 되었지만,
3평 남짓 방한칸에 살면서
방을 온통 한국의 장식품으로 꾸며놓고
오늘도 '소록도의 꿈'을 꾼다고 했다.
그 분의 방문 앞에는
그분의 마음에 평생 담아두었던 말이 한국말로 써 있다.
'선하고 겸손한 사람이 되라'
인터뷰를 마치고 돌아가는 오스트리아 특파원 금기자에게
'알사탕 몇알을 꼬옥 쥐어주는 그녀,
그리고 '밥을 차려 주지 못해 미안하다' 하면서 하는 말,
"지금도 우리 집, 우리 병원 다 생각나요.
바다는 얼마나 푸르고 아름다운지...
하지만 괜찮아요.
마음은 소록도에 두고 왔으니까요!"
댓글